𝗖𝗼𝗱𝗶𝗻𝗴
ᴀʜ_ʏᴏᴜɴɢ

𝗧𝗲𝗮𝗺_𝗣𝗿𝗼𝗷𝗲𝗰𝘁

[2-2-Adventure_Design] 5단계: SE 문제 정의

ah_young04 2025. 3. 6. 15:29
이번에는 Adventure_Design 팀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제 5단계인 SE 문제 정의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1️⃣ 공감하기 단계:

설계하는 제품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알아가기 위한 단계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 경험, 페르소나 분석

2️⃣ 정의하기 단계:

명확한 문제 해결이 아니라 니즈와 해결책의 방향을 정하는 단계
연관성 다이어그램(K-J 방법론), 공감지도, 5 whys, POV, HMW, Insight 도출


3️⃣ IDEATE 단계:
발산: 브레인 라이팅, 스캠퍼 (SCAMPER) / 수렴: 하이라이팅, PMI 기법


4️⃣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

관련되는 대표적 서비스 조사, Problem Statement


5️⃣ SE 문제 정의 단계:

기존 서비스의 인터랙션과 인터페이스 조사, Requirement Elicitation, 서비스의 형태

6️⃣ 프로토타입 단계


1. SE 문제 정의 단계 설명

 

SE 문제 정의 단계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사용자를 정의하고,

주요 기능들에 따른 시나리오와 Use Case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번 단계를 마지막으로,

다음 단계에서 피그마를 이용해 정말 앱을 개발해 볼 예정이다!


2. 기존 서비스의 인터랙션과 인터페이스 조사

 

이번, SE 문제 정의 단계의 첫 번째 과정은

기존 서비스의 인터랙션과 인터페이스를 조사하는 것이다.

 

저번 단계에서 진행 한 서비스 조사와 굉장히 유사하지만,

이번 단계에서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의 인터랙션 과정을 Use Case 형태로 작성하고,

해당 인터페이스 화면을 나열하여 기능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정리하고 단계별로 나열해야 한다.

또한, 작성한 Use Case를 더욱 분석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리 팀은 지난번에 조사한 3개의 서비스와 추가로 외국 서비스 1가지를 조사하였다.

(교수님께서 국내 앱 말고도 외국 앱도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추천해주셨다. ㅎㅎ)

 

Use Case 이름 맞춤형 웨딩홀 검색
참여자 Intiated by 예비부부
communicates with 시스템
시작 조건 1. 사용자가 회원가입 한 후에 로그인한 상태여야 한다.
2. 검색 필터(지역, 식사 금액, 하객 인원 등)가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종료 조건 1.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한 조건에 맞는 웨딩홀 리스트를 목록별로 추천한다.
2. 사용자가 입력한 상세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웨딩홀 업체와 연결하여 예약한다.
Use Case의 Flow Of Events 예시

3. 요구사항 도출(Requirement Elicitation)

 

다음으로는, SE 문제 정의 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Requirement Elicitation에 대한 설명이다.

 

Requirement Elicitation

개발 시스템이 반드시 가져야할 기능에 대해 팀원과 토의를 한 후에,

Use Case를 작성하는 것이다.

사용자 <-> 시스템간 인터랙션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시스템에게 줄 정보와,

시스템은 입력 정보를 갖고, 처리해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결과의 연속을 나타내면 된다.

1. Actors 정의하기 -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객체들에 대해 분석하고 토의한 후에,
시스템의 기능을 수행하는 사용자나, 유지 및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자 등으로 설정한다.

2. Scenario - Actor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 중 하나를 선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을 가정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한다. 

3. Use Case - 참여자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시스템의 외적 행동으로,
각 기능에 대해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명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Flow Chart - Use Case에서 Flow of Events에 대한 과정을 보다 더 쉽고 시각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플로우 차트를 이용해 체계적으로 표현한다. (이 부분은 우리가 편의를 위해 추가한 것 이다.)

 

  • 시나리오 VS Use Case

처음 시나리오와 Use Case를 작성할 때, 이 둘의 차이에 대해 헷갈릴 수 있다.

아래 설명과 예시를 보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 이다!

(본인도 헷갈려서 찾아봄..)

 

시나리오 Use Case
1. 시스템을 사용하는 구체적인 예로, 한가지 경우를 표현하는 것
2. 시나리오는 하나의 Use Case에 대한 특정 예시
1. 사용자와 시스템간의 인터렉션을 고려하여 모든 상호작용 결과의 연속을 나타내는 것
2. 하나의 Use Case는 해당 기능에 대한 모든 가능한 시나리오를 명세한다.
3. 하나의 Use Case는 하나의 Actor에 의해 시작된다.
4. 하나의 Use Case는 시스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완전한 사건의 흐름을 나타낸다.

  • 시나리오 예시 
특정 기능에 대한 시나리오 예시

  • Use Case 예시
Use Case 이름 웨딩홀 업체의 상품 등록
참여자 Intiated by 웨딩 업체
communicates with 운영자
시작 조건 업체가 웨플 앱에 회원가입과 로그인을 한 상태여야 한다.
종료 조건 업체는 자사의 상품을 원하는 홍보 방향성에 맞추어 상품을 등록한다.
Use Case의 Flow Of Events 예시

Flow Cahrt의 예시

4. 서비스의 형태 

 

다음으로는 SE 문제 정의의 마지막 과정인 서비스의 형태 부분이다.

이번 단계에서는 우리가 개발 할 서비스를

어떤 형태로 개발해 나갈 것인지 토의하고 결정하는 단계이다.

 

  • Mobile 버전 or PC 버전?
  • 다른 app, 모바일 기기, wearable 기기 등을 연결할지?

 

이번 단계를 통해,

연결시킬 수 있는 외부의 SW나 서비스에 대해 팀원과 토론하면서

기능의 세부사항에 대해 집중적으로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될 수 있었다.


이렇게 Adventure Design의 다섯 번째 단계인

SE 문제 정의 단계를 설명해 보았다.

 

이번 단계를 통해, 마지막 단계인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개발할

서비스의 기능과 발전 사항이 명확해졌다!

 

다음으로는, 마지막 여섯 번째 단계인 프로토타입 단계에 대해 설명해 볼 것 이다!

벌써 어느새 마지막 단계의 설명만을 남겨두었다 :)

약 6개월 간 진행한, 나의 첫 프로젝트인 만큼!!

정리를 더 꼼꼼히 해보겠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