𝗖𝗼𝗱𝗶𝗻𝗴
ᴀʜ_ʏᴏᴜɴɢ

𝗧𝗲𝗮𝗺_𝗣𝗿𝗼𝗷𝗲𝗰𝘁

[2-2-Adventure_Design] 4단계: SE 요구 사항 도출

ah_young04 2025. 3. 6. 00:11
이번에는 Adventure_Design 팀 프로젝트에서 진행한,
 
제 4단계인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할 것이다!
1️⃣ 공감하기 단계:

설계하는 제품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알아가기 위한 단계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 경험, 페르소나 분석

2️⃣ 정의하기 단계:

명확한 문제 해결이 아니라 니즈와 해결책의 방향을 정하는 단계
연관성 다이어그램(K-J 방법론), 공감지도, 5 whys, POV, HMW, Insight 도출


3️⃣ IDEATE 단계:
발산: 브레인 라이팅, 스캠퍼 (SCAMPER) / 수렴: 하이라이팅, PMI 기법


4️⃣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

관련되는 대표적 서비스 조사, Problem Statement


5️⃣ SE 문제 정의 단계

6️⃣ 프로토타입 단계


1.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 설명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 요구하는

서비스를 제안하는 정보들을 정리한 것으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을 명세화할 수 있다!


2. 관련되는 대표적 서비스 조사

 

이번,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의 첫 번째 과정은

우리가 만들려는 서비스와 관련되는 대표적인 서비스를 조사하는 것이다.

 

우리 팀은 총 3개의 관련 된 서비스를 조사하였다.

각 서비스를 조사하며 아래의 사항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고,

실제적인 인터페이스나 화면을 나열하여 조사 내용을 더 자세히 표현하고자 하였다.

1. 왜 해당 서비스를 선정하였는가?
2. 어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가?
3. 사용자는 어떤 경우에 해당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가?
4. 해당 서비스의 대표적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5. 해당 서비스의 부가기능(회원가입, 마이페이지)는 무엇인가?
6. 해당 서비스의 장점은 무엇인가?
7. 해당 서비스의 단점은 무엇인가?
8. 해당 서비스의 개선 사항은 무엇인가?

 

총 3개의 서비스를 각각 조사한 뒤에는,

하나의 표로 모든 서비스를 간단하게 정리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조사한 3개의 서비스를 정리한 표

3. Problem Statement

 

다음으로는,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Problem Statement 에 대한 설명이다.

 

Problem Statement

지금까지 진행한 단계의 내용과 이번에 조사한 서비스의 정보를 통해,

우리가 개발할 서비스의 목적기능확실하게 명세화 하는 것이다.

Problem(문제 정의): 현재의 상황과 개발 동기
Objectives(목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나타나는 긍정적 결과
Functional requirements(기능적 요구사항): 해당 시스템의 사용자를 위해 필요한 기능

이렇게 3개로 나누어진 부분에 대해 팀원들과 토의하며,

우리가 개발할 앱을 명세화 하는 것이 이번 단계의 목적이다!


이렇게 Adventure Design의 네 번째 단계인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를 설명해 보았다.

 

이번 단계를 통해,

우리가 개발할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조사하며 

개선되거나 추가되었으면 하는 기능들을 더욱 생각 해보는 계기가 되었고,

Problem Statement를 작성하며 우리가 개발할 앱을 더욱 확실화하는 시간이 되었다.

 

다음으로는, 다섯 번째 단계인 SE 문제 정의 단계에 대해 설명해 볼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