𝗖𝗼𝗱𝗶𝗻𝗴
ᴀʜ_ʏᴏᴜɴɢ

𝗧𝗲𝗮𝗺_𝗣𝗿𝗼𝗷𝗲𝗰𝘁

[2-2-Adventure_Design] 1단계: 공감하기

ah_young04 2024. 12. 22. 03:05

앞으로..

이번 2학년 2학기에 수강한 Adventure Design이라는 과목의

각 단계를 순서대로 설명할 예정이다!

 

이 과목에서는 디자인씽킹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하는 절차를 팀프로젝트로 진행한다.

 

모든 단계는 아래와 같이 진행된다.

(단계별로 진행될수록 설명을 채울 예정이다.)

1️⃣ 공감하기 단계:

설계하는 제품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알아가기 위한 단계

인터뷰, 설문조사, 관찰, 경험, 페르소나 분석

2️⃣ 정의하기 단계

3️⃣ IDEATE 단계

4️⃣ SE 요구 사항 도출 단계

5️⃣ SE 문제 정의 단계

6️⃣ 프로토타입 단계

 

이번 Adventure Design 과목은 나중에 있을 산학 프로젝트에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1. 공감하기 단계 설명

 

공감하기 단계는 서비스 기획의 가장 첫 단계로,

설계하는 제품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을 알아가기 위한 단계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를 관찰하고,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며 문제에 접근할 수 있다.

 

특히 이 단계는 직접 여기저기 발로 뛰어 다녀야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사람들에 대한 실제적인 관찰과 인터뷰를 통해

객관적으로 문제를 이해하고, 파악해야하기 때문이다.

 

우리 '와플 대학'조는 다양한 인터뷰를 위해 용산과 일산, 온라인 등을 통해 공감하기 단계를 진행하였다..!

와플 대학 메인 로고


2. 공감하기 방법: 인터뷰 (대면 및 설문조사)

 

공감하기의 첫번째 방법은 인터뷰이다.

대면 또는 온라인 인터뷰를 통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할 고객을

직접 공감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이다.

 

우리 조는 구글폼을 이용한 설문지와 QR을 직접 제작하여

미리 주문한 하리보와 꾸민 설문조사 판을 들고

웨딩 박람회(용산, 일산)를 방문했고,

실제 예비부부에게 부탁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학교 소통앱인 '에브리타임'에

기프티콘 당첨자를 추첨으로 뽑는다는 정보와 함께

서비스에 대한 구글폼 설문글을 올려서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자 하였다.

 

인터뷰는,

왜? 라는 질문을 이어가면서 핵심에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며

중립적인 진행을 통해 고객과의 교감을 극대화 해야한다.

 

에브리타임을 통한 설문조사


3. 공감하기 방법: 관찰(이슈발견-사례)

 

다음 공감하기 방법은 관찰이다.

폭넓은 관찰을 통해 고객을 공감하는 것이다.

우리 조는 인터넷 뉴스기사를 관찰함으로써

대중적인 고객을 공감하고자 하였다.

 

공감하기 단계: 관찰(이슈발견-사례)


4. 공감하기 방법: 경험

 

공감하기의 마지막 방법은 경험이다.

직접 페르소나가 되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문제와 니즈를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웨딩 박람회에서 실제 웨딩 플래너와의 상담을 통해

직접 예비부부의 입장이 되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 조의 팀원이 실제 예비부부인듯이 행동해야 해서 웃기긴했지만,

더 현실적이고 깊은 공감을 얻게되어 이번 단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공감할 때 피해야할 것

 

이렇게 다양한 공감하기 방법을 진행하면서

꼭 피해야 할 점이 있다.

 

1. 가정

- 가정을 통한 방식으로 공감하기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면

그것은 공감이 아닌 그저 창작품이 될 것이다.

 

2. 비판

- 이 단계는 결론이나 의견을 정해야하는 것이 아닌

우리 서비스를 이용할 고객을 공감하는 단계이므로 비판은 삼가해야한다.

 

3. 편견

- 편견을 가진 공감하기 방법은 절대 공감이 될 수 없다.


5. 페르소나 분석

 

공감하기 단계의 메인 부분은 바로 페르소나 분석이다.

 

앞에서 설명한 다양한 공감하기 방법을 통해

여러 페르소나를 만들고,

고객에 대한 정보를 구체화하며

페르소나의 생각과 느낌을 알아가야 한다.

 

우리 조는 총 5가지의 페르소나를 분석하였다.

(대학원생 커플, 결혼을 희망하는 대학생 커플, 예비부부, 결혼 사기를 당한 예비부부, 장거리 예비부부)

페르소나는 새롭게 창작한 인물이어도 되고, 실제 주변 인물을 참고해도 된다.

 

그렇게 만든 페르소나의

배경(나이, 성별, 직업, 가족), 특징(성격 , mbti, 태도), 동기, 일상적 행동, 인용 문구 등을 통한

자세한 분석으로 고객을 구체화 해가며,

페르소나를 통한 결론(페르소나가 겪는 어려움 -> 우리 서비스를 통한 해결법)을 도출할 수 있다.

 

페르소나 분석 예시


여기까지가 Adventure Design의 첫 단계인

공감하기 단계이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며

직접 인터뷰하고, 설문조사를 해야 했기에..

첫 단계부터 많이 힘들고 어려웠다.

 

게다가 나의 첫 팀플이자 첫 팀장인 과목이 바로

이 AD여서 많은 걱정이 되긴 했지만,

 

모두 처음겪어보는 일 이었기에

오히려 새롭고 설레기도 하였다.

 

다음 시간에는 2번째 단계인 정의하기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찾아오겠다!